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투자 성공을 위한 2가지 조건

by tubescribe 2022. 7. 9.

주식 투자는 통화량이 증가하는 이 시대에서 부를 유지하고 키울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 포스팅의 주제인 주식투자 성공을 위한 2가지 조건을 통해 주식 시장의 단순한 원리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경제의 신인 삼프로 TV 이진우 기자로부터 배워보겠습니다.


주식 투자 성공을 위한 2가지 조건

1. 주식 투자 성공을 위한 2가지 조건

주식 투자 성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2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중요한 원리입니다.

 

  1. 내가 좋은 회사의 주식을 산다
  2. 남들도 내가 산 주식을 좋은 주식이라고 생각한다.

항상 주식 투자에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2번입니다. 좋은 회사는 내가 열심히 공부해서찾아보면 됩니다. 그런데, 남들도 내가 산 주식이 좋은 회사의 주식이라고 동의를 해줘야 합니다. 보통 이 과정은 긴 시간이 필요하며, 영원히 안 될 수도 있습니다. 2번이 도와주지 않으면 주식 투자 성공이 어렵습니다.


2. 주식 투자자의 자질

주식 가격은 그 회사가 가진 능력과 잠재성, 그리고 그 회사의 주식을 산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서 움직입니다. 이 중 사람의 마음에만 집중해보면, 

 

  • 가격이 올라가면 영원히 올라갈 것 같아 못 팔고,
  • 가격이 내려가면 영원히 내려갈 것 같아 못 산다.

올라갈 땐 욕심이 생기고, 내려갈 땐 겁이 나는 것은 인간이라면 이해가 가는 심리현상입니다. 투자자의 자질을 요약하면 언제 사고, 언제 팔지를 냉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혹시 이 자질이 부족하시다면, 사고, 파는 것을 대신 결정해 줄 수 있는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주식 투자를 안전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간접 투자라고 합니다.


3. 간접 투자 방법 : 펀드, ETF

  • 전문가가 어떤 종목을 사라고 하면 사고, 팔라고 하면 판다.
  • 친구나 지인이 어떤 종목을 사라고 하면 사고, 팔라고 하면 판다.

사실 이 방법도 내가 직접 판단하지 않으니까 간접투자이긴 합니다. 그런데, 사고파는 행위는 직접 해야 합니다종목 선정부터 사고, 파는 행위까지 대신해주는 것이 바로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가 이 일을 하고, 우리는 펀드매니저에게 수수료를 줍니다. 물론 펀드매니저가 여러 주식을 골라 담아 만든 펀드를 선택하는 것은 우리가 직접 해야 합니다.

 

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시켜서 거래를 할 수 있게 만든 것도 있습니다. 이것을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ETF에 사람들이 좋다고 동의해주는 주식을 미리 담아 놓고 파는 것입니다. 주식이 과일이라면, 펀드나 ETF는 과일을 담아놓은 장바구니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4. 투자 vs. 투기

간접투자가 그나마 안전하긴 합니다만, 왜 오르는지, 왜 내리는지를 모르고 운에 맡긴다면 이것도 투기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투자와 투기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내가 샀던 자산에서 나오는 이익, 그러니까 현금 흐름을 계산할 수 있으면 투자입니다. 투자 기간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현금 흐름을 예측하여 어떤 자산을 샀고, 거기에서 원하는 현금을 얻었다면 그것은 투자입니다. 하루 만에 이 일이 일어났더라도 이것은 투자인 것입니다.


5. 장기 투자 vs. 단기 투자

장기와 단기를 구분하는 뚜렷한 기준은 없습니다만, 여유 있는 투자가 성공확률이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경제전문가들은 장기투자를 권합니다.

 

주가가 오르는 것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1. 내가 좋은 주식을 산다.
  2. 남도 내가 산 주식을 좋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간단하게 장기투자와 단기투자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좋은 회사의 주식은 가격이 안정적으로 꾸준히 오릅니다. 회사의 실적, 재무제표 등을 통해서 회사가 성장할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사람의 마음은 짧은 시간 동안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합니다. 그러니 단기투자는 사람의 마음을 맞춰야 됩니다.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을 읽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6. 매수, 매도 타이밍

주식투자를 통해 현금 흐름을 만들어내려면, 주식 매수, 매도 타이밍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쌀 때 사서 가장 비쌀 때 파는 것이 정답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정확한 매수, 매도 시기를 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꾸준히 시장의 흐름을 읽어가고 예측할 수밖에 없습니다.


7. 주식투자 비중을 어느 정도로 해야 할까?

현대사회는 은행이 돈을 계속 공급해주는 세상입니다. 늘어난 돈의 비율만큼 나도 그 돈을 가져와야 나의 부가 유지됩니다. 나는 안 가져왔는데,, 다른 사람들이 그 돈을 가져가면 내가 있는 부의 위치가 뒤로 밀리게 됩니다. 더 가난해진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니, 주식투자도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만큼은 해야 합니다. 참고로 2021년 기준 우리나라 금융 자산 비율은 주식 20%, 부동산 70%, 현금 10%입니다.


함께 참고하면 더 좋은 글

주식 투자 필요성


참고자료

IBK기업은행(2021), 초보 투자자들이 알아야 하는 주식 투자의 6가지 원리ㅣ📈 주식 심화편 (feat. 삼프로TV 이진우 기자) [돈터치미]

댓글